반응형
🔍 도벨티정(도베실산칼슘수화물)은 어떤 환자에게 필요한 약일까요?
혈관을 보호하고, 미세혈관 출혈이나 부종을 잡아주는 순환계 전문의약품 도벨티정에 대해
효능부터 부작용, 보험 적용 여부, 함께 쓰면 안 되는 약물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립니다.
📌 목차
- 도벨티정이란?
- 효능·효과
- 작용 기전
- 복용 방법
- 부작용 및 주의사항
- 보험 적용 정보
- 병용금기 약물
- 자주 묻는 질문
- 요약 및 참고링크
1. 도벨티정이란?
도벨티정(성분: 도베실산칼슘수화물)은 한미약품에서 제조한 혈관 보호제로,
혈관의 투과성 증가(=부종), 미세혈관 출혈, 혈전 생성 등을 억제합니다.
✔️ 주 용도:
- 당뇨병성 망막병증
- 말초혈관 장애
- 정맥기능부전
- 혈관염증, 치질 등 순환계 질환
2. 효능·효과
도벨티정은 다음과 같은 혈관 질환에 효과적입니다:
- ✔️ 당뇨병성 모세혈관 장애 (망막병증 등)
- ✔️ 항진된 모세혈관 투과성 및 파열 억제
- ✔️ 정맥 기능 부전 (혈전 후 증후군 포함)
- ✔️ 말초 부종, 치질 등 혈류 정체로 인한 질환
특히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눈(망막) 혈관 손상이나 다리 붓기, 정맥 울혈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3. 작용 기전
도벨티정의 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모세혈관 강화: 혈관벽 안정화 → 출혈/부종 방지
- 혈전 억제: 혈액 점도 조절로 혈전 생성 차단
- 항산화 작용: 활성산소 제거, 염증 반응 완화
- 말초 순환 개선: 손발 저림, 붓기 개선
4. 복용 방법
- ✅ 성인 기준 권장 용량:
1회 250~500mg, 하루 2~3회 경구 복용 (최대 1000mg/일) - ✅ 정맥질환 환자:
초기 1일 750mg × 1~3주 → 유지용량 500mg - 💡 식후 복용 + 물 충분히 섭취
- ※ 연령 및 질환에 따라 용량 조절 가능 (의사 처방 필수)
5. 부작용 및 주의사항
유형 | 주요 부작용 예시 |
소화기 | 메스꺼움, 복통, 설사, 속쓰림 등 |
피부 | 발진, 가려움, 홍반 (알레르기 반응 포함) |
기타 | 두통, 피로감, 드물게 백혈구 감소 등 |
🛑 주의할 점:
- 간·신장 기능 저하 환자 → 전문의 상담 필수
- 임산부·수유부 → 복용 피하거나, 반드시 의사 판단 하 사용
- 알레르기 병력(특히 아황산나트륨)에 민감한 경우 주의
6. 보험 적용 정보
- 📌 급여 적용(보험 약제)
1정당 약 156원 (2024년 기준, 일반약가 기준) - 📌 급여코드: 643508460
- 📌 보험 적용 적응증:
- 당뇨망막병증
- 정맥 기능부전
- 혈관 울혈 증후군 등
※ 의료보험 적용은 의사 진단서 기준으로 이뤄집니다.
7. 함께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약물
도벨티정은 특이한 병용금기는 없지만, 다음과 같은 약물과 주의가 필요합니다:
주의 | 병용군 설명 |
항응고제/항혈소판제 | 아스피린, 와파린, 클로피도그렐 등 → 출혈 위험 ↑ |
유사 혈관 보호제 | 플라보노이드 계열, 기타 정맥 강화제 → 효과 중복 |
간·신장 약 복용자 | 약물 대사 문제 가능성 → 전문가 상담 필수 |
🧠 포인트:
→ 중복 복용 금지 X, 하지만 "출혈 위험↑" → 반드시 전문의 상담 필수!
8. Q&A (자주 묻는 질문)
Q1. 도벨티정은 장기 복용해도 괜찮나요?
👉 네, 의사 지시하에 장기 복용 가능합니다. 단, 위장장애·피부 이상 등 발생 시 복용 중단 후 진료 필요.
Q2. 소아나 임산부도 복용 가능한가요?
👉 안전성 근거 부족으로 사용 권장되지 않음. 꼭 복용해야 한다면 전문의 판단 필수.
Q3. 오메가3나 플라보노이드계 영양제와 함께 써도 될까요?
👉 병용 가능하나, 출혈 경향이 있으니 주치의 상담 후 결정하세요.
9. 요약 및 참고 링크
항목 | 요약 정보 |
성분명 | 도베실산칼슘수화물 |
효능 | 당뇨망막병증, 정맥 기능부전 등 |
복용법 | 1회 250 ~ 500mg, 하루 2~ 3회 (식후) |
보험적용 | 급여 약제 (1정당 156원) |
주의사항 | 간·신부전, 임산부, 항응고제 병용 시 주의 |
🔗 참고 출처:
✨ 마무리 한 마디
도벨티정은 혈관을 지켜주는 작지만 강력한 순환계 약물입니다.
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하시고,
출혈 경향이 있는 약물과 병용 시에는 주치의와 꼭 상의하세요.
정기 검진과 함께 약물 복용이 가장 중요합니다.